초기
생가
일본 유학시절 하숙방
결혼 사진
서울대 미대 실기실에서 지도 중
1917(1세)
11월 26일,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송룡리 105번지에서 출생
1926(10세)
보통학교 3학년 때 일본의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가 주최한 전국 소학교 미전에서 일등상 수상
1930(14세)
경성 제2고등보통학교(지금의 경복중고등학교)에 입학
1932(16세)
경성 제2보고 3학년 때 공정치 못한 처사를 일삼는 일본인 역사 교사에게 격렬히 항의하다 퇴학당함
1936(20세)
체육 특기생으로 양정고등보통학교 3학년에 편입학
1937(21세)
조선일보 주최의 제2회 전국학생미전에서 <공기놀이>등을 출품, 최고상인 사장상과 중등부 특선상 수상
1939(23세)
양정고등보통학교를 졸업(23회)하던 해 4월, 일본 도쿄의 제국미술학교(지금의 무사시노 미술대학)
서양학과에 입학
1940(24세)
선전(鮮展: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 <소녀> 입선
1941(25세)
4월12일, 이병도박사의 맏딸 이순경과 결혼
1943(27세)
9월, 제국미술학교를 졸업, 선전에서 <언덕>이 입선
1945-1947(29-31세)
국립중앙박물관에 근무
1948(32세)
김환기, 유영국, 이규상 들과 신사실파 동인 활동 시작
12월, 화신백화점 화랑에서 열린 제1회 신사실파 동인전에 참여
1949(33세)
11월, 동화백화점 화랑에서 열린 제2회 신사실파 동인전에 유화 13점을 출품
1950(34세)
6·25 전쟁 발발
1951(35세)
부산으로 피난 이후, 아내의 권고로 아이들과 함께 연기군으로 귀향
대표작 <자화상> 창작
1953(37세)
제 3회 신사실파 동인전에 <독>, <언덕> 등 유화 5점을 출품
전쟁의 상실감에 빠져 문학인, 화가들 틈에 끼어 폭음을 거듭
가족들의 호구가 걱정되어 컷과 표지화 다수 그림
1954(38세)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대우교수로 취임
1955(39세)
국립박물관 화랑에서 열린 백우회전에 <수하(樹下)> 출품 독지가의 이름을 딴 ‘이범래씨 상’ 수상
1956(40세)
제5회 국전(國展: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이후 두 차례[제8회(1959), 제18회(1969)]
국전심사위원으로 위촉
1957(41세)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동양미술전에 출품
1958(42세)
뉴욕의 월드하우스 갤러리가 주최한 한국현대회화전에<나무와 새>(1957)등 유화 3점을 출품
1960(44세)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직을 사임
1961(45세)
경성 제2고등보통학교 출신의 동문화가 권옥연, 유영국, 이대원 등과 ‘2・9동인회’를 조직
현재 롯데백화점 신관 자리에 있던 국립도서관 화랑에서 열린 제 1회 <2·9동인전>에
<야조도>, <산수> 유화 2점 출품
작품보기 →
덕소시기
경기도 덕소의 소박한 화실에서
그림에 몰두한 시간
덕소 아틀리에 화가 장욱진
덕소 아틀리에 침실
덕소 아틀리에 내부
덕소 아틀리에 부엌 벽화
1963(47세)
경기도 덕소의 한강가, 경기도 양주군 미금면 삼패리(지금의 남양주시 삼패동) 395-1번지에 슬라브 양옥을 짓고 혼자 생활하기 시작
1964(48세)
반도화랑에서 제 1회 개인전, <장욱진 개인전>개최
1967(51세)
신세계백화점 화랑에서 열린 제 5회 <앙가주망전>에 참가
1970(54세)
정초에 명륜동 집에 머물던 중 예불에 열중하는 아내의 모습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아 그 길로 덕소로 돌아가 일주일간 식음을 전폐하며 아내의 첫 번째 초상화 <진진묘>완성
1974(58세)
공간화랑에서 제 2회 개인전 개최, 근작 중심으로 유화 32점 출품
명륜동시기
덕소시기 이후 주변이 번잡해지자
서울 명륜동 집에 돌아온 시간
명륜동 집 화실
명륜동 정자 '관어당'
명룬동 양옥 아들방
1975(59세)
덕소생활을 청산하고 명륜동 양옥 뒤 한옥을 마련, 화실로 꾸밈
시골로 자주 여행을 다니며 여행 중에 스케치북에 매직펜, 사인펜으로 그림
1976(60세)
시골의 사찰을 자주 방문하며 부처 일대기를 그린 <팔상도>, <사찰> 그림
잡지, 신문에 기고했던 글들을 모아 산문집 《강가의 아들리에》(민음사) 발간
1977(61세)
여름에 양산 통도사의 경봉(鏡峰)스님이 비공(非空)이라는 법명을 내림현대화랑에서 비공개 도화전 개최
1978(62세)
현대화랑에서 윤광조의 분청사기에 그림을 그린 도화전 개최
1979(63세)
공현대화랑에서 <장욱진 화집발간 기념전> 개최, 유화 25점, 판화 13점, 먹그림 18점 출품
겨울, 충북 수안보 온전동네 뒤의 탑동마을(충북 중원군 상모면 온천리)의 농가 한채를 구입
수안보시기
명륜동에서 수안보의 직접 만든
작은 화실로 들어간 시간
수안보시기 아틀리에에서
수안보 작업실 내부
수안보 사립문을 나서는 화가 장욱진
1980(64세)
봄, 수안보의 농가를 고쳐 화실로 꾸미고 부인과 함께 생활
슬레이트 지붕의 한칸짜리 방은 내실로, 담배를 말리던 토방을 나누어 화실로 꾸밈
1981(65세)
창작활동에 전념하며 공간화랑에서 개인전 개최, 유화 20여점과 먹그림을 에칭판화로 옮긴 그림 5점 전시
1982(66세)
여류화가들과 미국여행, 유화 몇 점, 실크스크린, 에칭판화, 먹그림으로 로스엔젤레스의 스코프 갤러리에서 전시
1983(67세)
유럽여행, 연(淵)화랑에서 판화집 출판기념 판화전 개최
1985(69세)
여름, 수안보의 화실을 정리하고 서울로 이주
용인시기
용인의 낡은 한옥에서 그림에 몰두한
화가 장욱진의 마지막 시간
용인시기 한옥
한옥에서 이순경여사와 함께
비오는날 한옥에서
용인시기 화가 장욱진
1986(70세)
유화 8점과 먹그림을 모아 국제화랑에서 개인전 개최
봄, 경기도 용인군 구성면 마북리의 낡은 한옥을 사서 보수
가을, 중앙일보가 제정한 예술대상의 수상자로 지명
1987(71세)
대만과 태국여행, 두손화랑에서 화집을 내고 개인전 개최
국제화랑의 서양화 7인전에 4점의 작품 출품
1988(72세)
딸과 며느리와 함께 인도 여행, 인도 뉴델리 박물관에서 깊은 감명 받음
1989(73세)
마북리의 한옥 옆에 양옥을 완성하고 입주
가을, 미국 뉴저지주의 버겐 예술 과학박물관에서 개최된 한국현대화전에 출품
1990(74세)
미국의 '한정판 출판사(the Limited Editions Club)'에서 선정한 수제작 한국 관련 책에 그림을 맡기로 위촉
12월 27일 점심식사를 유쾌하게 든 뒤 갑자기 발병, 오후 4시에 선종
12월 29일, 수원시립장제장에서 제자 및 미술계 인사들이 모여 영결식
사후
문화체육부 표석
유골 탑비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1991
3월 말, 탑비(塔碑)를 고향인 충남 연기군 동면 응암리 선영에 세움추모문집 『장욱진 이야기』(김영사) 펴냄
1992
11월, 미국 뉴욕 ‘한정판 출판사’의 ‘Golden Ark: Paintings and Thoughts of Ucchin Chang (황금방주: 장욱진의 그림과 사상)을 발간
1993
김형국의 『그 사람 장욱진』(김영사) 출간
1995
호암 미술관에서 ‘장욱진전(展)’ 개최목판화 25점이 실린 '선(*)시리즈' 신세계 가나화랑 전시‘1995년 미술의 해’를 기념하여 연기군청이 건립한 생가비가 제막
문화체육부와 ‘95미술의 해 조직위원회’는 신갈 아틀리에에 표석(標石)을 세움
1997
문고판 화집『장욱진-모더니스트民畵匠』(김형국 지음, 열화당)출간
가나아트갤러리에서 ‘장욱진版畵展’개최
1998
장욱진미술문화재단 발족가나아트센터(평창동)개관과 화집『장욱진 먹그림』(김형국ㆍ강운구 엮음,열화당)출간 기념으로 ‘장욱진 먹그림전’개최
1999
갤러리 현대에서 ‘장욱진의 색깔있는 종이그림전’ 개최
『장욱진의 색깔 있는 종이그림』(김형국 엮음,열화당)출간
2000
갤러리 현대 10주기 회고전 기념 유화 전작도록(정영목 글, 학고재)발간
2001
갤러리 현대에서「10주기 기념 회고전 해와달ㆍ나무와 장욱진 전」 개최
2003
문화관광부 지정 2004년 이달의 문화인물(11월) 선정
2004
갤러리 현대의 두가헌과 신갈 아틀리에에서 이달의 문화인물 기념 전시회 개최
2008
장욱진 가옥(신갈 아틀리에-한옥,양옥)국가 등록 문화재로 등재
2010
MoA에서 <장욱진>전을 개최
장욱진미술문화재단과 양주시가 미술관 건립을 위한 작품 기증 관련 협약 체결
2011
갤러리 현대와 장욱진미술문화재단 공통 주최로 장욱진 20주기 기념 회고전 <장욱진>전 개최
2014
4월,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개관
주소ㅣ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 119-8대표전화ㅣ031-283-1911 메일ㅣinfo@ucchinchang.org
© 2024 BY CHANGUCCHI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
주소ㅣ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 119-8대표전화ㅣ031-283-1911 메일ㅣinfo@ucchinchang.org© 2024 BY CHANGUCCHI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